티스토리 뷰

 

회계관련 업무를 해보신 분들이라면, 도대체 무슨 뜻인지 알기 어려운 단어들을 많이 접하셨을 것입니다. 특히 감가상각비는 익숙하게 들어봄직한 단어이지만, 감가상각비를 정확하게 설명하고 계산하는 방법을 말해보라하면 과연 몇이나 정확하게 대답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회계용어 중에서도 이 감가상각비의 정의와 함께 계산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가상각비, 무엇을 의미할까]
사전에서 설명하는 감가상각비는 '기업이 사용하는 기물이나 설비 등이, 해마다 소모되는 감소분을 계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는데요. 즉 기물이나 설비, 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생산할 때 기물이나 설비의 노후된 만큼을 제품생산 원가에 포함하기 위해 계산하는 비용입니다. 감가 상각 항목에는 유형고정자산과 무형고정자산으로 나뉘는데, 유형고정자산에는 차량이나 운반구, 공구, 기구 및 비품등이 있을 수 있고 무형고정자산에는 토지나 영업권, 특허권과 개발비 등이 포함됩니다.

 

 

 

[감가상각비 계산하는 4가지 방법]
이렇게 설명부터 어려운 감가상각비. 그 계산법만 하더라도 4가지의 방법이 있는데요. 정액법, 정률법, 연수합계법, 생산량비례법이 있습니다. 대체로 감가상각비 정액법이 가장 일반적이고 대중적으로 쓰이는 방법입니다.

 

 

-감가상각비 정액법 계산
감가상각비(1년당) = (취득원가 - 잔존가치) / 사용기간
* 이 계산식에서 잔존가치를 예로 들면 기계를 구입하고 더이상 사용할 수 없을 지경까지 이르러도 이 기계를 고철로 팔았을때 남는 금액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회계 계산시 고형자산과 무형자산 모두 잔존가치를 계산해야하지만 처분시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례적으로 잔존가치는 1원이상으로 매기고 있습니다.

 

-감가상각비 정률법 계산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감가상각누계액)x상각율
*상각률은 법으로 정해져있으므로 연마다 달라지는 상각율을 찾아 곱해주시면 됩니다.

 

 

 

 

-감가상각비 생산량 비례법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x (당기생산량 / 총생산예정량)
생산량비례법은 매년 생산량을 측정한 후에 수량비율만큼 감가상각을 하는 방법이며 광업권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일반기업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감가상각비 연수합계법 계산
연수합계 = 예상내용연수 x [(예상 내용연수+1) / 2]
이 계산방법은 자산 수명의 초반에 더 많은 감가상각이 발생했을 때 추정하여 계산하는 방법인데요. 맨처음 연수합계를 계산한후 이 내용을 바탕으로 잔존내용연수를 결정하여 감가상각을 계산하게 됩니다.

 

 

설명만큼이나 어려운 개념의 감가상각비. 대체로 정액법이나 정률법으로 계산하는 경우가 많으니 엑셀 함수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계산할 수도 있는데요. 정확히 파고들어 개념을 알기보다는 이런 내용을 담고 있는 단어이구나 하고 이해만 하고 넘어가신다면, 회계업무를 할 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